Kafka1 Springboot + Redis + Kafka 설치부터 설정, 실행 과정 최근 수정이 적고 반복적으로 질의 되는 DB 데이터를 Cache할 일이 생겼습니다. 어떤 방식으로 할까 고민하다. 최근 많이 사용되는 Redis Cache, Kafka 방식을 선택하였고 그 과정을 간단하게 기록으로 남깁니다. 애플리케이션이 A, B 두개가 있다고 가정하고 B에서는 API를 통해 반복적으로 조회가 일어납니다. 반복적인 질의는 불필요하므로 캐시를 적용합니다. 이때, A서버에서 데이터의 저장, 수정, 삭제 등과 같은 트랜잭션이 일어나게 되면 Kafka를 통해 B 서버로 변경을 알리게 됩니다. B서버는 이를 감지하고 Redis 캐시를 무효화 하고 새롭게 데이터를 Redis Cache에 적재합니다. Redis 설정Redis 설치Redis는 메모리 내 데이터 구조 저장소로, 캐시, 데이터베이스, 메.. 2024. 10. 16. 이전 1 다음